
저번시간까지의 캐드 주택 단면도 작업은 위와 같다.
오늘은 이어서 문자>해치>치수로 마무리될 예정이다!
문자
문자 기본


좌측 상단의 표에서 문자 하나를 copy하여 문자가 들어가야 할 위치에 붙여넣어준다.
문자 지시선


문자를 쓰는 방법은 간단하다. 쓰면되고, 문자칸이 좁으면 넓히면 된다.
그리고 각 문자가 공간 속 어느 부분을 지칭하는가도 지시선으로 표시해준다.
*우측이미지를 참고하여, 줄은 Line으로, 큰 점은 Donut(DO)으로 그려준다.(크기는 내부0 / 외부30로 지정해준다.)

지시선의 시작은 대각선이 되어선 안된다.

지름 기호(Ø)를 넣으려면 기호를 클릭해서 넣어도 되지만, 단축키(%%c)를 외워두면 더 빠르다.
문자 박스

각 실명 하단 및 '단면도' 문자 기입 시 박스를 적당한 크기로 그려준다.
각 실의 경우 해당 실의 마감에 대해 위와 같이 간단히 기재해준다.
*마감 기호 표현을 위해 SPL 활용
문자를 다 넣은 상태

기타 표현
물매표시

지붕의 기울기 정도인 물매 표시를 해준다.
절단표시

해치 넣기

해치를 그리기위해 우선 빨간 중심선(Center)을 잠시 꺼준다.
콘크리트


HATCH를 실시하고, 해당하는 텍스쳐를 선택 후 면을 선택.
*너무 확대해서 지정하려고 하면 경계를 확인할 수 없다는 오류가 뜨니 주의!
*콘크리트의 축척은 3으로 넣어준다.
*완성된 콘크리트 해치는 우측 이미지
철근 콘크리트

JIS C 18 코드인 철근을 콘크리트 위에 넣어 철근 콘크리트를 만들어준다.
*철근의 축척은 30으로 지정한다.
잡석다짐

잡석다짐 기호는 위와 같이 직접 그려서 복사해준다.
벽돌


벽돌은 HATCH>USER>간격70으로 지정한다.
*HATCH면을 선택 후 '원점설정' 클릭 후 가장 하단면을 선택하면 시작지점 부분부터 깔끔하게 올라갈 수 있다.
*벽돌까지 완성된 도면은 우측 이미지와 같다.
벽돌-입면&단면 구분 표시

벽돌은 입면과 단면이 있으니 단면은 따로 표시를 해준다.
*단면 표시는 HATCH>ANSI31>축척10으로 변경하여 단면인 벽돌 부분에 적용해준다.
*입면 벽돌 부분에는 벽돌 해치만 넣어준다.
*

이미 해치를 넣고 layer를 바꾸고자 한다면, 해치를 선택 후 특성에서 바꿔주면 된다.
석재인방


HATCH>ANSI33을 넣어준다.
*밑에있는 벽돌 단면표시 ANSI31과 딱맞게 떨어진다.
창문 해치


HATCH>ANSI31 >축척4로 나무창틀 부분만 넣어준다.
*바깥쪽 알루미늄은 넣지않는다.
목재 해치 - 반자돌림&걸레받이



반자돌림과 걸레받이 단면 부분도 목재 단면 표시를 넣어준다.
*이런 작은 부분도 놓치지않는 디테일이 실무에서 매우 필요한 태도인 것 같다.(실무뿐 아니라 인생에서도..)
바닥 & 우측벽 단열재 해치


바닥 단열재 : HATCH> ANSI37>축척10


우측벽 단열재 : Layer를 insulation으로 변경>Line을 Batting선으로 변경>축척0.14
*우측 이미지처럼 살짝 삐져나간 batting 선은 무시해준다.
모르타르 마감 해치

AR-SAND > 축척10으로 모르타르 마감을 표현해준다.
*다른 hatch들은 파랑색이지만, 해당 부분은 파랑으로는 표현이 안되기에 초록으로 해준다.
벽재 해치


USER-각도90-축척500으로 벽을 표현
copy하여 옆으로 20 이동하여 벽지의 겹침을 표현해준다.

벽재 해치까지 넣은 모습.
내부 해치는 마무리된듯
지반(땅) 해치



offset 300
흰색선 Line으로 지그재그 표현.
중간 offset 세로선들 제거


ANSI31 - 축척20
우선 지그재그의 윗부분만 해치 후 아랫부분은 각도90을 주고 해치

offset한 노랑선을 모두 지워 마무리.

지붕쪽 흰선을 추가
치수


QD(Quick Dim)
수직 중심선을 모두 선택 후 Enter.
치수가 한방에 빠져나온다.
*만약 숫자가 작아서 아난올 경우
D(Dim Style)>수정>맞춤 탭>축척을 40으로 변경

DLI
용머리 최상단과 테두리보의 하단을 지정 후 Enter.
치수를 빼준다.

DIMCONTINUE 혹은 DIM>옵션 중 계속(C)



임의로 지정했던 지붕 우측 700은 '설계치수'라고 수정하여 기재해준다.
?? 지정한 Dim 값을 수정하는 법.
입면도

테두리를 복사한 후 스케일-참조를 활용해 40>50으로 축척변경.
스케일 후 테두리 선택, 옵션-R 입력 후 기준점 선택, 40,50을 순서대로 기입.

GL선을 그대로 연장하여 가져온다.
북측 입면도를 그리므로, N 나침반 표시를 보고 방향을 먼저 찾는다.
(북쪽이 아래로 오도록, 북측에 서서 바라보는 방향)
바닥높이-계단+현관높이(600)

테두리보 하단 (2360)
900이 더 올라감.


6000*0.4를 계산.(계산기 활용가능)하여 올라감.


해당 선은 제일 높은 선.
외벽으로 600씩 밖으로 나온 선.
초록으로 표시한다.

앞부분 최앞단은
5600-1500=4100. 여기서 600을 더 나갓으니 4700.
여기 0.4를 곱하여 1880이란 값을 구함.

입면도는 가장 겉에서 보이는 모습을 그리는 것.
*항상 가장 높은곳인 마룻대에서 떨어진다는 것을 알아야함.

지붕이 잡아졌다. 입면도는 지붕을 잡으면 90%된거라고 하신다. 맞겠지?
그릴때마다, 좌측에 보이는 단면도의 값을 참고하면 용이하다.

중심선에서 벽의 절반인 210씩 나가준다.
가운데 영역은 붉은 벽돌, 위아래는 모르타르 마감 영역인 듯 하다.
평면도와 입면도를 보고 공간을 상상하는 게 잘 안된다..
Architectural Vo cabulary
*RC - Reinforced Concrete
*JIS - Japanese Industrial Standard
*
'Lear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서울시중부기술교육원 인테리어디자인/스케치업(SketchUp)7 - Flip/Follow Me (0) | 2025.07.01 |
|---|---|
| 서울시중부기술교육원 인테리어디자인/스케치업(SketchUp)6 - Rotate 활용 등 (0) | 2025.06.24 |
| 서울시중부기술교육원 인테리어디자인/스케치업(SketchUp)5 - (0) | 2025.06.18 |
| 서울시중부기술교육원 인테리어디자인/스케치업(SketchUp)4 - Move/Tape measure 활용 (0) | 2025.06.17 |
| 스케치업(SketchUp)/Follow Me 기능 - 비효율적인 독학을 해야만 한다. (2) | 2025.06.16 |